-
플러그인 없이 Jekyll Sitemap 만들기
sitemap을 google에 등록해두면 google에서 주기적으로 크롤링을 합니다.
Google에서 색인을 완료하면
관련 검색어로 구글링시 검색결과에서 해당 글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sitemap.xml 만드는 법을 알려드립니다.
Google 검색엔진에 등록하는 방법은 홈페이지 검색 잘 되도록 만들기 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더 읽기
-
왜 Java 8 을 공부해야 하는가?
( 이미지 출처 : https://openjdk.java.net )Java 8 이 새로 나오고 인터넷의 다양한 매체로부터 Lambda 라는 용어를 수없이 많이 들었습니다.
그 때문이었을까요.. Java 8 의 변화는 Lambda 라는 잘못된 인식을 가졌고
Java 8에 대해서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는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지금이라도 관심을 가진건 다행이죠.Java 8 의 가장 큰 변화는 Stream 일 것입니다.
Stream 을 이용하면 멀티코어 프로세서상에서 병렬처리가 너무나도 쉽고 정확하게 이뤄집니다.
개발자의 잠재적 실수가 숨어있을 공간이 거의 사라진 것처럼 느껴질 정도네요.이 문서에서는 Java 8 사용 권유의 목적으로 Stream 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더 읽기
-
gedit
( 이미지 출처 : https://upload.wikimedia.org )지에디트(gedit)는 그놈 데스크톱 환경용으로 개발된 자유 소프트웨어인 텍스트 편집기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맥 OS X에서도 사용 할 수 있다. UTF-8과 호환하며, 프로그램 코드, 마크업 언어와 같은 구조화된 텍스트 문서를 편집하는 용도에 중점을 두고 개발했다. 그놈 프로젝트의 철학에 따라 깔끔하고 단순한 GUI가 특징이다.
( 출처 : gedit )... 더 읽기
-
패키지가 설치 된 위치 찾기 in Ubuntu
Windows 에서는 대부분 Program files 디렉토리에 설치가 되는 편인데
Linux 는 좀 이곳저곳에 설치되는 느낌이 강합니다.어떤 방법으로 설치하느냐에 따라서도 좀 달라지고
게다가 어떤 계정으로 설치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기도 하고요.패키지가 설치 된 디렉토리 찾는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더 읽기
-
Bundler 를 이용한 Jekyll 3.0 업그레이드
( 이미지 출처 : http://ruby-korea.github.io/bundler-site/ )번들러는 필요한 정확한 gem과 버전을 추적하고 설치하여 루비 프로젝트를 위한 일관된 환경을 제공합니다. 번들러는 의존성 지옥에서 벗어나게 하고, 필요한 gem이 개발, 스테이징, 프로덕션에 있는지 확인해 줍니다. ( 출처 : http://ruby-korea.github.io/bundler-site/ )
Bundler는 미리 입력되어있는 의존성에 따라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자동으로 설치해줍니다.
아래와 같은 간단한 의존성 기입만으로도 Github-Pages와 동일한 환경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 source 'https://rubygems.org/' $ gem 'github-pages'
... 더 읽기
-
Github Pages의 Jekyll 3.0 업그레이드
오늘 아침 Github 트위터 계정을 통해 Github Pages의 새로운 소식을 들었습니다.
GitHub Pages now faster and simpler with Jekyll 3.0
2016.02.02부로 Github Pages에서 사용하는 Jekyll 엔진을 버전 2.0에서 3.0 으로 교체했다고 하네요.
속도가 빨라지고 단순해졌다.. 라면서 여러가지 좋은 점들을 적어놓은 것 같긴한데 별로 중요해 보이지 않습니다.
중요해 보이는 것들은 변경사항들..
오늘부터 syntax highlighter 는 Rouge 만으로 사용이 제한되며
2016.05.01 부터는 Markdown는 Kramdown 만 사용가능하다고 합니다.그 외에도 변경사항들이 더 있습니다.
Jekyll & Github Pages 구성이라면 평생토록 유지보수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아주 큰 착각이었네요 -_-ㅋ
... 더 읽기
-
Log4j 2 설정하기
( 이미지 출처 : https://logging.apache.org )Configuration 파일을 어디다가 둬야 혹은 어떻게 처리해야 Log4j 를 사용할 수 있을까요?
저는 예전에는 이것 때문에 굉장히 애를 먹었습니다.분명 Spring을 쓸 때는 src/main/resources 아래에 두면 잘 돌아갔었습니다.
근데 프레임워크가 없는 레거시 시스템에 적용하려고보니 당연히도 src/main/resources가 없죠.
알고보니 WAS의 web.xml 에서 설정해야 하더군요.
또 다른 프로젝트로 가서 적용하려다보니 Daemon으로 돌리는 시스템이라 WAS가 없고 web.xml이 없더군요.Log4j 를 접하면 저는 항상 당황스러움이 가장 먼저 떠오릅니다.
그래서 가장 우선적으로 configuration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그리고 Log4j 2 에서 제공하는 강력한 성능의 비동기방식 로깅처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Configuration 작성법은 샘플을 통해서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 더 읽기
-
Process Status 사용법
ps -eo user,pid,ppid,rss,vsz,size,pmem,pcpu,time,comm Result> USER PID PPID RSS VSZ SIZE %MEM %CPU TIME CMD user1 2699 2615 431076 1421496 991748 7.1 0.9 00:07:44 /opt/google/chrome/ user1 2584 2016 242248 1266588 596076 4.0 0.9 00:08:06 /opt/google/chrome/ user1 1750 2615 172932 925232 562376 2.8 0.4 00:00:15 /opt/google/chrome/c user1 2841 2016 163652 735372 281308 2.7 0.0 00:00:13 /usr/bin/python3 /us user2 1099 1 147772 956008 899016 2.4 0.0 00:00:48 /usr/sbin/mysqld
프로세스별로 메모리, CPU 등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유용합니다.
프로세스별 메모리 값을 합쳐서 전체 메모리 사용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Shared Memory를 사용하는 프로세스들이 존재한다면 중복이 발생하므로 실제 값보다 크게 계산 됩니다.... 더 읽기
-
Install Citrix Receiver On Ubuntu
( 이미지 출처 : http://docs.citrix.com, https://upload.wikimedia.org )제가 다니는 회사의 클라우드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Citrix Receiver가 필요합니다.
모든 데이터가 클라우드 컴퓨터에 보관되고 작업 환경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무실에서도 로컬 컴퓨터로는 할 수 있는 것이 없고 일단 Citrix 로 클라우드 컴퓨터에 접속을 해야만하죠.지금까지 단 한번도 우분투에서 접속을 시도해본 적이 없었는데
갑자기 회사 로컬 컴퓨터를 우분투로 꾸며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시도해보기로 했습니다.
일단 집에서 테스트겸으로 시도해봤는데 접속이 잘 되네요.... 더 읽기
-
Ubuntu Command Line으로 wifi 접속하기
맨날 집에서 키보드를 깎다가 정말 오랜만에 분위기 전환겸 카페에 왔다.
우리 집 앞 Twosome은 커피마시면서 작업하기에 최적의 장소다.근데 네트워크 설정이 안된다…OTL
특히 접속하려고하는 Twosome 네트워크는 Connection 버튼을 눌러도 아무 반응조차 없다.30분정도를 Network Setting 윈도우와 씨름하다가 결국 포기하고
핸드폰을 뒤져서 Command 를 찾아봐서 해결….... 더 읽기